해외자회사(관계기업)의 지분법 회계처리를 할 때, 환율 변동이 있는 경우, 환산 차익/손실을 OCI(기타포괄손익)로 반영해야 합니다. 아래에 사례를 하나 만들어 환율 변동을 반영한 회계처리를 분개와 함께 설명해 보겠습니다.

해외자회사 B사의 지분 30%를 보유한 A사
보고통화 KRW, 자회사 통화 USD
거래일의 환율 | 분개 | |||
X1.01 | 1 USD = 1,200 KRW | 취득시 | 관계기업투자주식 | 현금 |
X1.12 | 1 USD = 1,100 KRW | B사 당기순이익 | 관계기업투자주식 | 지분법 이익 |
미실현손익제거 | 지분법이익 | 관계기업투자주식 | ||
X2.03 | 1 USD = 1,250 KRW | 배당 | 현금 | 관계기업투자주식 |
X2.08 | 1 USD = 1,220 KRW | 처분 | 현금 | 관계기업투자주식 처분손익 |
1. 해외자회사 취득
- X1.01 A사가 해외자회사 B사의 30% 지분을 3 USD에 취득
- 3 USD x 1,200 KRW/USD(환율) = 3,600 KRW
(차) 관계기업투자주식 (B사) 3,600 KRW
(대) Cash (현금) 3,600 KRW
2. 기말 이익변동반영 및 미실현손익 제거
- X1.12 B사가 X1년 말 기준으로 당기순이익 4 USD을 인식(영업을 한 첫해라고 가정)
- 기말환율 1,100/USD, 평균환율 1,180/USD
- 기중 A사는 B사에 상품을 판매합니다. A사는 B사에 재고를 팔 때마다 마진을 100원씩 얻는데 B사에 남은 A사의 재고는 2개입니다.
1) 재무제표 환산
먼저 USD로 기표되어 있는 재무제표를 KRW로 환산해야 합니다. 재무제표 환산 시 사용하는 환율과 관련한 내용은 아래 게시물에서 확인해 주세요. 자산, 부채 계정에는 X1년의 기말 환율을 사용하고 자본에는 역사적 환율, 손익계정에는 X1년도의 평균환율을 사용했습니다. 우리는 이 환산한 자본의 30%를 지분법으로 인식해야 합니다.
https://letslearnsomethingnew.tistory.com/281
해외자회사 재무제표 환산 및 해외사업환산손익
외국에 있는 자회사는 원화가 아닌 외화로 재무제표를 기표하고 있습니다.이걸...... 원화로 환산해서 지분법도 계산하고 해야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할까요? K-IFRS 기준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letslearnsomethingnew.tistory.com
2) 이익변동 해외사업환산손익 반영
B사의 4720원의 당기순이익 중 30%만 A사의 몫임으로 1416원을 지분법이익으로 인식합니다.
해외사업환산손익도 30%를 반영해야 자본 금액이 맞습니다. -1320원 x 30% = - 396원
(차) 관계기업투자주식 (B사) 1,416 KRW
(대) 지분법이익 1,416 KRW
(차) 지분법자본변동(OCI) 396 KRW
(대) 관계기업투자주식 396 KRW
3) 미실현손익 제거
B사에 있는 A사의 재고 2개는 아직 안 팔렸다는 걸 의미합니다. A사에 인식한 마진 중 재고 2개 분의 마진은 아직 실현이 되지 않았다는 의미이지요. 이 마진을 취소해 줍니다. 즉 마진 100원 x 2개 = 200원의 이익을 취소할 겁니다.
(차) 지분법이익 200 KRW
(대) 관계기업투자주식 200 KRW
3. 배당수령(Dividends Received)
- X2년도에 해외자회사 B사가 총 1 USD 배당함 (선언과 동시에 지급)
- 1 USD x 30% X 1,250 KRW/USD(환율) = 375원
(차) 현금 375 KRW
(대) 관계기업투자주식 (B사) 375 KRW
4. 처분(Disposal) 추가확인예정
- A사가 보유한 30% 지분을 5 USD에 매각, 5 USD x 1,220 KRW/USD = 6100 원
- x2년 8월 B사의 당기순이익 4 USD, 미실현이익은 모두 실현됨, 평균환율은 1230
- 처분이익 = 현금 유입 - 장부가치
* 원래 재무제표는 저렇게 자본변동내역이 쪼개져서 나타나지는 않습니다만 편의상 자본변동내역을 넣었습니다.
자본변동내역은 자본변동표에서 확인하시면 됩니다.
1) 처분시점으로 자본금액을 맞춥니다
x2.08 기준 당기순이익인식, 미실현손익취소, 해외사업환산손익조정
(차) 관계기업투자주식 1,476 KRW
(대) 지분법이익 1,476 KRW
(차) 관계기업투자주식 200 KRW
(대) 지분법이익 200 KRW
(차) 지분법자본변동(OCI) 111 KRW
(대) 관계기업투자주식 111 KRW
2) 장부가치를 확인합니다
A사에서 인식한 관계기업투자주식 금액은 B사의 자본금액의 30%와 일치해야 합니다.
초기 투자 3,600 원
+ x1.12 손익인식 1,416 원
- 배당 375 원
+ x2.08 손익인식 1,476 원
- OCI 507 원
5,610원
3) 관계기업투자주식과 지분법자본변동 금액을 제거하는 분개를 합니다
(차) 현금 6,100 KRW
(대) 관계기업투자주식 (B사) 5,610 KRW
(대) 지분법자본변동(OCI) 507 KRW
(대) 처분이익 17 KRW
* 사례를 하나 들어 제 생각대로 취득에서 처분까지 분개를 해보았습니다. 과정 중에 오류가 있다면 언제든지 피드백을 부탁드립니다.
'회계 세무 공부 > 국내 회계 세무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해외자회사 재무제표 환산 및 해외사업환산손익 (2) | 2025.03.17 |
---|---|
[IFRS공부] 리스 회계(Lease Accounting) IFRS vs. US GAAP 비교 (1) | 2025.03.09 |
[IFRS공부] IFRS vs. USGAAP 금융상품 기준 (+ chat gpt와 함께하는) (2) | 2025.03.08 |
[회계] 사장님들이 예민하게 반응하는 본인 대 대리인 이슈 (0) | 2025.02.28 |
[입문자용] 정말 아주 쉬운 지분법과 연결재무제표 간 이해, 어려운말 없음 (42) | 2024.11.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