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회계 세무 공부/국내 회계 세무 공부

[입문자용] 정말 아주 쉬운 지분법과 연결재무제표 간 이해, 어려운말 없음

by manii 2024. 11. 16.
반응형

사장님이 자회사를 하나 통으로 사오셨? 습니다.
이건 우리 회사에 장부에 어떻게 기표될까요?

 

 

 

개별재무제표일 때와 연결재무제표일 때 각각 다릅니다.

개별재무제표일 때지분법으로 인식하고 연결재무제표일 때는 재무제표들을 합산해야 합니다.

자 이게 도대체 무슨 뜻이고 어떻게 하는 걸까요?

 

 

 

 

지분법내 몫만큼만 자산항목에 딱 한 줄로 추가해서 적는 겁니다.

간단하죠? 근데 내 몫만큼만 적는다는 게 어떤 건지 개념을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는 예를 하나 들어보겠습니다.

 

 

 

제가 집을 샀습니다. 드디어 내 집마련의 꿈을!!!! 이룬 겁니다 오예~~~~

 

 

근데 집은 비싸죠..... 편의상 10억이라고 해보겠습니다.

10억 현금이 있으면 참 좋겠지만 저에게는 10억이 없었습니다.

그래서 대출 6억 + 아끼고 아껴서 모아돈 돈 4억을 탈탈 털어서 집을 샀습니다.

 

그럼 여기서 질문 저는 이 집을 얼마나 가지고 있다고 표현할 수 있을까요?  

 

법적인 명의는 제 이름으로 되어있지만 이 집은 은행대출이 6억 + 제 돈이 4억으로 이루어져 있지요.

그럼 우리가 뭐라고 하지요?

 

"방하나만 내 거고 다 은행 꺼야....ㅠㅠ" 라고 하지요

 

즉, 이 집이라는 자산은 부채 60%, 자기 자본 40%로 이루어져 있는 셈이지요. 

지분법에서는 내 몫인 4억으로 자산항목에 추가해 넣으면 됩니다.

 

 

 

반면 연결재무제표에서는 좀 다릅니다. 연결재무제표에서는 결과적으로 풀어서 적어야 해요.

위의 같은 예시를 이용하자만 자산에 집 10억 부채 6억 이렇게 나누어서 적는 거예요.

그래서 결과적으로 둘의 효과는 같습니다. (10 - 6 = 4) 

 

 

 

 

다시 자회사로 돌아가 보도록 하겠습니다.

 

사장님이 사 오신? 자회사를 살펴보니 자산이 10억 = 부채 6억 + 자본 4억 인 회사입니다.

그렇다면 이걸 우리 회사 장부에는 어떻게 기표해야 할까요?

 

개별회사의 재무제표만을 만드는 기중(其中)에는 지분법으로 처리합니다.  내 몫인 4억을 자산에 추가하면 되겠죠?

투자자산에 "투자주식"으로 넣으면 됩니다.

* 정확한 계정은 회사가 어떤 회계기준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또 상황에 따라 조금 다른데 여기서는 그냥 투자주식으로만 적겠습니다.

 

그런데 기말(期末)이 오면 어떻게 해야 될까요? 중소기업이냐 아니냐 등등 현실에서는 여러 가지 요건이 있을 수 있지만, 기본적으로 회계에서는 50%가 넘으면 연결재무제표도 또 만들어야 합니다. 그럼 연결재무제표를 만들 때는 어떻게 기표해야 할까요? 위와 같습니다. 결과적으로 자산 10억, 부채 6억으로 적으면 됩니다. 

 

 

그럼 결과적으로 자산 10억과 부채 6억을 남기기위해 실무는 어떻게 할까요?

아주 단순히만 보자면 우리 회사 개별재무제표랑 자회사 재무제표랑 1단계 단순 합산 후에 

2단계 투자자산 4억과 자본 4억을 없애는 작업을 통해 연결재무제표를 만드는 일을 합니다. 

 

 

 

 

 

 

 

 

 

여기서는 지분법과 연결회계 단순개념만 설명을 드렸구요. 좀더 자세한 설명은 다음 게시글에서 하도록 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